신통신 언어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5 15:17
본문
Download : 신통신 언어의 이해.hwp
‘통신’은 서신을 통한 소식 전달과 같은 것들도 포함하는 정이 으로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하는 컴퓨터와 전화망, 또는 전용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통신만을 의미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의사소통’ 역시 반드시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호로그램과 인간, 호로그램과 호로그램 사이에서도 일어난다.
1.2 기존 통신 언어
신통신 언어라고 하여 그 범주를 새롭게 잡을 수 있는 것은 그것이 기존의 통신언어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통신 언어에 관련되어 고찰하기 전에 기존 통신 언어에 관련되어 먼저 살펴보려고 한다. 각각마다 지칭하는 범위나 정이 이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컴퓨터 통신이나 인터넷(Internet)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의미하는 것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신통신언어의 본질을 살펴보는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는 이러한 포괄적인 정이 보다는 좀 더 명확히 통신언어를 규정해야 할 필요성(必要性)이 있다 우선은 앞서 말한 정이 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통신언어를 ‘통신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에 쓰이는 언어’라고 기술할 수 있겠다.통신언어 , 신통신 언어의 이해경영경제레포트 ,
통신언어
신통신 언어의 이해
레포트/경영경제
순서
Download : 신통신 언어의 이해.hwp( 22 )
,경영경제,레포트
서론
본론
1.예비적 고찰
1.1. 통신 언어
1.2. 기존 통신 언어
1.3. 신통신 언어
2. 대표적인 신통신 언어
2.1.외계어
2.1.1.외계어의 정이 및 등장배경
2.1.2 외계어의 example(사례) 제시
2.1.3.외계어의 사용 reality(실태)
2.2.하오체
2.2.1.하오체의 정이 및 등장배경
2.2.2.하오체의 example(사례) 제시
2.2.3.하오체의 사용 reality(실태)
2.3.신정이 어휘
2.3.1.신정이 어휘의 정이 및 등장배경
2.3.2.신정이 어휘의 example(사례) 제시
2.3.3.신정이 어휘의 사용 reality(실태)
3.신통신언어의 특징
3.1. 신통신언어의 개개의 특징
3.1.1.외계어의 특징
3.1.2.하오체의 특징
3.1.3.신정이 어휘의 특징
3.2.신통신언어의 공통적인 특징
conclusion
1.1 통신언어
통신언어라고 하면 흔히들 ‘채팅에 사용되는 언어’, ‘사이버 공간에서 사용하는 언어’, ‘전자 언어’ 등으로 생각한다. 거기에서는 다음과 같이 밝힌다. 이런 사항들을 고려해 보았을 때 통신언어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정이 중 가장 바람직한 것은 이정복에서 내린 정이 정이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 정이를 따르도록 하겠다. 신통신 언어의 이해에 대한 글입니다.
그러나 이것에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통신 언어는 앞서 밝힌 정이 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자 통신, 즉 컴퓨터 통신을 사…(skip)
신통신 언어의 이해에 대한 글입니다.
통신언어란 전자 통신(電子 通信)에서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하는 모든 종류의 글자 언어를 말한다.
설명






다.
‘언어’에 관련되어도 ‘모든 종류’라고 정이 을 확대하여 후에 다룰 외계어와 같은 경우에 관련되어도 그 가능성을 열어 두었다는 점에서 이정복의 정이는 본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 타당하며 특별히 improvement해야할 부분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