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서비스산업 11개 지정, 1조 투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5 21:24
본문
Download : 070831104428_.jpg
설명





전문 지식을 기반으로 이뤄지지만 제조업과 연관성이 높은 연구개발(R&D)전문업·컨설팅·e러닝 등 11개 분야가 고부가가치 지식서비스산업으로 지정됐다. 개발된 사업모델의 사업화 지원을 위해서는 산업은행의 ‘지식기반사회서비스지원자금’(2007년 기준 2조원)과의 연계도 강화하기로 했다.
government 는 11개 분야 산업 육성을 위해 산업기술 R&D의 3.4%에 불과한 서비스 분야 R&D 지원을 6.8%까지 높이기로 하고 내년부터 8년간 약 97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11개 분야 가운데 독자적 산업으로 확립돼 있는 6개(디자인·컨설팅·유통·패션·e러닝·패키징)에는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지원이 집중된다. 아직 산업화 기반이 미흡한 3개 분야(R&D전문업·시험分析(분석)·에너지절약전문업)는 우선 reality(실태) 파악과 내역 分析(분석)에 나설 계획이다. government 는 이들 11개 분야에 내년부터 8년간 1조원에 가까운 R&D비를 투입해 사업화를 지원하기로 했다.
김승규기자@전자신문, seung@
순서
지식서비스산업 11개 지정, 1조 투입
이 자리에서 김영주 장관은 “지속적 경제 성장을 위한 신성장동력으로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지식서비스산업을 육성하는 데 모든 정책적 지원을 집중할 것”이라며 “지식서비스의 전술적 육성으로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동반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다.
지식서비스산업 11개 지정, 1조 투입
Download : 070831104428_.jpg( 70 )
지식서비스산업 11개 지정, 1조 투입
레포트 > 기타
지식서비스산업 11개 지정, 1조 투입
산업자원부는 30일 디자인·컨설팅·패션·전시산업·e러닝·패키징·시험分析(분석)·R&D전문업·유통·프랜차이즈·에너지절약전문업의 11개 분야를 중점 지원, 육성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지식서비스산업 육성전술’을 발표했다. 산업적 기반은 있지만 법적·제도적 기반이 미흡한 2개(전시산업·프랜차이즈)에서는 구체적 육성대책이 마련된다.
government 는 특히 산업의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해 우선 공공부문부터 신규 시장을 창출해나가기로 하고 government 와 공공기관이 11개 분야를 아웃소싱할 때 민간기업 할당 목표(目標)제나 민·관 경쟁입찰제를 도입하는 대책을 검토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