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cation.co.kr 언어의 관용적 성격에 관하여 > communication1 | communication.co.kr report

언어의 관용적 성격에 관하여 > communication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ommunication1

언어의 관용적 성격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9 05:21

본문




Download : 언어의 관용적 성격에 관하여.hwp




`이 단어를 사전을 찾아 봐.`라는 말 중의 `사전을 찾다`는 그 전체가 `단어를`을 목적어로 하는 한 개의 타동사와 같은 기능을 하고 있다 그리고 `사전(을) 찾을 때 쓰는 확대경이 어디 갔나?` 할 때의 `사전을 찾다`는 그 전체가 자동사적이다.언어의관용적성격에관하여 , 언어의 관용적 성격에 관하여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순서
본 資料는 언어의 관용적 성격에 관하여 작성된 리포트입니다. 결국 `사전을 찾는다`라는 말은 관용어로서 사전의 올림말이 될 수밖에 없게 되고 만다. `이 확대경은 무엇에 쓰는 거야?` `사전 찾을 때 쓰는 거지.` 할 때의 `사전(을) 찾는다`라고 하는 말은 당연히 사전이 어디에 있는지 찾는다는 뜻이어야 하고, 어떤 문맥에서도 이런 뜻으로만 해석이 되어야 할 텐데, 위와 같은 대화에서는 `사전에서 단어의 뜻이나 발음, 철자 등을 찾아본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이 말이 이러한 뜻으로 쓰이는 것에 대해 아무도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빨래를 비틀어 짜듯이 물을 틀 수가 없는데도 이 말을 모두가 알아듣는다. 오직 `사전을`이라는 말 뒤에서만 특수한 의미를 갖게 되는 까닭에 그것은 무의미한 일이다. `빨리 찾아봐 사전을`, `내가 어제 영한사전을 …(To be continued )
언어의%20관용적%20성격에%20관하여_hwp_01.gif 언어의%20관용적%20성격에%20관하여_hwp_02.gif 언어의%20관용적%20성격에%20관하여_hwp_03.gif 언어의%20관용적%20성격에%20관하여_hwp_04.gif


언어의관용적성격에관하여


설명
,기타,레포트

Download : 언어의 관용적 성격에 관하여.hwp( 42 )




다. `사전을 찾다`는 한 단위의 관용어로 풀이할 수밖에 없는데 그렇게 보기도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그렇다고 해서 이것을 한 개의 타동사나 자동사로 취급할 수도 없다.

2. 본론
사전에서 단어의 뜻이나 발음 등을 찾아본다는 의미의 `사전을 찾는다`는 `목적어+타동사`로 分析할 수 없다. `사전을 있는 대로 다 찾아보았는데`와 같은 표현이 있는 것으로 보아 `사전을 찾다`는 여전히 통사적 구성이기 때문일것이다 또 이 때의 `찾다`에 특별한 의미를 줄 수도 없다.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는다`는 `귀가 안 들린다`라고 하고, `아무 것도 안 보인다`는 `눈이 안 보인다`고 한다. 정상적인 문법적 안목으로는 이해가 되지 않는다.







본 자료는 언어의 관용적 성격에 관하여 작성된 리포트입니다.
언어의 관용적 성격에 관하여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쓰는 말 중에는 정상적으로는 도무지 뜻이 통할 수 없을 것 같은 말들이 많다. `수도 꼭지를 튼다`는 말은 `수도를 튼다`가 되고, 더 나아가서 `물을 튼다`고까지 하게 되었다.
전체 6,66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ommunication.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