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방폭전기 설비의 전기적 보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7 11:33
본문
Download : [공학]방폭전기 설비의 전기적 보호.hwp
레포트/공학기술
[공학]방폭전기 설비의 전기적 보호 , [공학]방폭전기 설비의 전기적 보호공학기술레포트 , [공학]방폭전기 설비의 전기적 보호
순서
[공학]방폭전기 설비의 전기적 보호
![[공학]방폭전기%20설비의%20전기적%20보호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EB%B0%A9%ED%8F%AD%EC%A0%84%EA%B8%B0%20%EC%84%A4%EB%B9%84%EC%9D%98%20%EC%A0%84%EA%B8%B0%EC%A0%81%20%EB%B3%B4%ED%98%B8_hwp_01.gif)
![[공학]방폭전기%20설비의%20전기적%20보호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EB%B0%A9%ED%8F%AD%EC%A0%84%EA%B8%B0%20%EC%84%A4%EB%B9%84%EC%9D%98%20%EC%A0%84%EA%B8%B0%EC%A0%81%20%EB%B3%B4%ED%98%B8_hwp_02.gif)
![[공학]방폭전기%20설비의%20전기적%20보호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EB%B0%A9%ED%8F%AD%EC%A0%84%EA%B8%B0%20%EC%84%A4%EB%B9%84%EC%9D%98%20%EC%A0%84%EA%B8%B0%EC%A0%81%20%EB%B3%B4%ED%98%B8_hwp_03.gif)
![[공학]방폭전기%20설비의%20전기적%20보호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EB%B0%A9%ED%8F%AD%EC%A0%84%EA%B8%B0%20%EC%84%A4%EB%B9%84%EC%9D%98%20%EC%A0%84%EA%B8%B0%EC%A0%81%20%EB%B3%B4%ED%98%B8_hwp_04.gif)
![[공학]방폭전기%20설비의%20전기적%20보호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EB%B0%A9%ED%8F%AD%EC%A0%84%EA%B8%B0%20%EC%84%A4%EB%B9%84%EC%9D%98%20%EC%A0%84%EA%B8%B0%EC%A0%81%20%EB%B3%B4%ED%98%B8_hwp_05.gif)
![[공학]방폭전기%20설비의%20전기적%20보호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EB%B0%A9%ED%8F%AD%EC%A0%84%EA%B8%B0%20%EC%84%A4%EB%B9%84%EC%9D%98%20%EC%A0%84%EA%B8%B0%EC%A0%81%20%EB%B3%B4%ED%98%B8_hwp_06.gif)
설명
[공학]방폭전기,설비의,전기적,보호,공학기술,레포트
방폭전기 설비의 전기적 보호
1. 화재 폭발 (연소)의 3요소
- 다음의 3가지 조건이 충족되면 화재 발생
① 가연성 물질(액체, 가스, 분진)
② 산화성 물질(산소, 산화제)
③ 에너지 원(점화원)
※ 가연성 물질이 공기 중으로 누출된 상태(폭발위험 분위기)에서 전기기기가 점화원으로 작용하면 화재 발생
2. 전기기기의 방폭화
- 기본원리
폭발위험분위기가 조성된 상태에서 전기기기가 점화원이 되는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조건
- 전기 점화원 격리방법
점화원 격리 : 내압, 압력, 유입 방폭구조
기기 안전도 증강 : 안전증 방폭구조
전기 에너지 억제 : 본질안전 방폭구조
3. 폭발성 가스란
- 전기방폭에서 폭발성 가스는 모든 가연성 가스와 인화성 액체의 증기
- 폭발성 가스의 위험도를 발화도 및 최대안전틈새로 분류하여 적합한 방폭구조의 정설치...
방폭전기 설비의 전기적 보호
1. 화재 폭발 (연소)의 3요소
- 다음의 3가지 조건이 충족되면 화재 발생
① 가연성 물질(액체, 가스, 분진)
② 산화성 물질(산소, 산화제)
③ 에너지 원(점화원)
※ 가연성 물질이 공기 중으로 누출된 상태(폭발위험 분위기)에서 전기기기가 점화원으로 작용하면 화재 발생
2. 전기기기의 방폭화
- 기본원리
폭발위험분위기가 조성된 상태에서 전기기기가 점화원이 되는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조건
- 전기 점화원 격리방법
점화원 격리 : 내압, 압력, 유입 방폭구조
기기 안전도 증강 : 안전증 방폭구조
전기 에너지 억제 : 본질안전 방폭구조
3. 폭발성 가스란
- 전기방폭에서 폭발성 가스는 모든 가연성 가스와 인화성 액체의 증기
- 폭발성 가스의 위험도를 발화도 및 최대안전틈새로 분류하여 적합한 방폭구조의 정설치 시에 활용전기기기의
4. 폭발성 가스의 발화도
전기기기의 표면온도 상승에 의한 폭발방지에 관련된 폭발성 가스의 발화점에 따른 분류
발화도 등급폭발성 가스의 발화점(°C)전기기기 표면최고온도(°C)T1450초과450T2300~450300T3200~300200T4135~200135T5100~135100T685~10085
5. 폭발성 가스의 최대안전틈새
내압방폭구조의 틈새를 통한 화염확산 방지
최대안전틈새ⅡAⅡBⅡC틈의 폭[mm]W≥0.90.9`W`0.5W≤0.5
방폭 계기 및 계전기 설치
1. 1종 장소
1종 장소에서 전력계, 계기용 변압기, 저항기, 정류기 및 열전자관을 포함한 계기 및 계전기는외함이 1종 장소에 적합하여야 한다.
2. 2종 장소
(1) 접점(Contacts)
스위치, 차단기, 푸쉬버튼의 접점, 계전기 벨, 혼…(To be continued )
Download : [공학]방폭전기 설비의 전기적 보호.hwp( 31 )
[공학]방폭전기 설비의 전기적 보호
다.
1종 장소에 적합한 외함은 내압방폭구조와 퍼지(purge)를 응용한 압력방폭구조를 포함한다.